부동산 공부

복잡해 보이지만 알고 보면 간단한 재건축,재개발 절차와 과정

유의미한정보 2024. 1. 30. 01:32
반응형
재건축재개발 절차와 과정
재건축재개발 절차와 과정


안녕하세요. 도움 되는 유의미한 부동산 정보🙌
오늘은 재건축,재개발 사업의 과정과 절차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재개발 사업지를 검색하면, '~과정이다.'라고 표시가 되어있어요.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사업장별 재건축,재개발 진행과정 어디서 확인하나요?

정비사업 정보몽땅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메인화면에서 정보공개현황을 클릭합니다.
사업장 검색을 클릭하면 지역별로 재개발, 재건축 사업지 목록이 나오게 됩니다.


https://cleanup.seoul.go.kr/cleanup/bsnssttus/lscrMainIndx.do

정비사업 정보몽땅

자치구역선택 자치구역 선택 도봉구 강북구 노원구 성북구 은평구 종로구 동대문구 중랑구 서대문구 마포구 중구 용산구 성동구 광진구 강서구 양천구 구로구 영등포구 금천구 동작구 관악구

cleanup.seoul.go.kr

재건축재개발 절차와 과정
재건축재개발 절차와 과정
재건축재개발 절차와 과정 01
재건축재개발 절차와 과정 01
재건축재개발 절차와 과정 02
재건축재개발 절차와 과정 02


위 사진으로 보시면 진행단계가 각각 다름을 알 수 있습니다.



재건축, 재개발의 절차

  • 사업 필요성 및 타당성 검토
  • 정비구역 지정
  • 정비계획 수립
  • 조합설립
  • 사업시행계획 인가
  • 시공사 선정
  • 철거 및 착공
  • 분양 및 관리처분
  • 준공검사 및 준공인가
계획수립 (재건축 필요성 및 타당성 검토, 정비구역 지정)
토지소유자의 동의 이후 정비구역 지정 -> 정비계획 수립
사업시행 방법 및 절차, 주민 이주대책 및 주거환경개선대책 논의
사업시행 단계에서 조합을 설립하고 사업시행계획 인가받음
사업비 조달 및 집행 -> 분양 및 관리처분 기준 -> 사업시행계획 인가 후 시공사 선정 -> 철거 및 착공
분양 및 관리처분 진행 -> 준공검사 및 준공인가


*시공사 : 재건축사업의 시공을 담당하는 업체




재건축, 재개발 사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요건을 갖추게 됩니다.

  • 노후주택이 2/3일 것
  • 정비구역의 면적이 10만제곱미터 이상일 것
  • 토지 등 소유자의 동의가 3/4 이상




하지만 세분화 되었던 재개발, 재건축에 대한 규제를 대폭 완화하게 되면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추가적인 내용은 아래 링크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yumdeng.com/28

1월 10일 발표한 재건축,재개발 패스트트랙🧐

2024년 1월 10일 정부는 도심 주택공급 확대를 위해 주택재개발, 재건축 패스트트랙을 도입하는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재건축,재개발 패스트트랙? 준공 30년이상이 넘은 아파트 단지를 대상으로

yumdeng.com



다시 정리하자면,

  1. 재건축,재개발의 필요성과 타당성 검토하기
  2. 요건이 충족하는지 확인할 것 (노후주택 비율, 소유자의 동의 정비구역 면적 확인)
  3. 정비구역의 주민이주대책 및 주거환경개선대책 논의
  4. 조합설립 이후 사업시행계획 인가받기 (토지등 소유자 동의, 5인이상의 조합설립추진위원 구성, 관할 행정청 인가)
  5. 사업비 조달 및 집행 분양 및 관리처분
  6. 시공사 선정 및 철거/착공 진행 (선정을 위해 입찰공고를 띄우고 현장설명회 진행)
  7. 철거 및 착공이 완료되면 일반에 분양합니다.
  8. 관리처분 및 보상금 지급 (재건축으로 인해 발생한 손실에 대한 보상금 지급)
  9. 관리처분 완료 후 준공검사, 준공인가 순으로 법령기준에 적합한지 확인하는 절차를 거칩니다.
  10. 준공인가를 받으면 재건축 사업이 완료됩니다.


사실 업무 때 항상 보는 단어들이어서 익숙하다고 생각했지만 생각보다 탄탄한, 진행절차와 과정이 있었다는 걸 다시 한번 깨닫게 되는 계기였습니다. 재건축, 재개발 사업지를 검색할 때 그 사업지가 어떤 과정에 있는지 이렇게 알아본 후 알게 된다면 조금 더 이해가 쉽습니다.



준비한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 글도 유익한 내용으로 준비하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